스터디 정리(12)
-
ftp
1) sftp = ssh에서 지원하는 ftp 2) ftp = 파일전송시스템. 평문 통신. 아이디,암호,데이터 평문.(암호화 안됨) 3) ftps(s: 시큐어) = 정신통신규약에 맞춰진건 아님. ftp가 보안이 좋지않아서 가라로.. dnf 프로그램을 추가하기위한 인스톨러 옵션 : install, remove, update, list(검색) ex) dnf list *ftp* dnf (-y) install vsftpd dnf (-y) remove vsftpd 앵간하면 update 해주고 install 하는게 좋음 dnf update 설치하면 기본 생성 경로: /etc/vsftpd/ 설정 파일: vsftpd.conf anonymous_enable=NO : 누구든지 접속할 수 있도록 셋팅할건지(아이디 없이도 들어..
2021.11.06 -
리눅스 공부- 1일차
suse 젠투 ------------------------------------우리나라에서는 안씀 - [redhat] -centos, rockey, redhat, redora,oracle, ... - 레파지토리 > yum -> dnf - [debian] -우분트, 민트, 라즈비안... - apt -get [명령어] 1) cd 원하는 경로 (이동) 2) ls -구조를 볼 수 있음(디렉토리, 파일) * - 옵션 (ls -l) == ll(숨김파일을 제외한 디렉토리와 파일을 나타냄) * - ls -la(숨김파일을 포함한)(a= all) * - ls -lah (숨김파일을 포함한, 용량을 사람이 보기 편하게 표시한 것) - 쳤을 때 맨앞에 나오는 문자들에서 맨 앞에 글자 > d: 디렉토리/ 그 외(-)는 파일 - ..
2021.09.11 -
[20210730] 간단 정리
▶ 컨테이너 : 다른 기능과 연동할 수 있게 동작하게함 (톰캣) ▶ 컨텍스트 : server.xml에 등록된 웹 어플리케이션 - 웹어플리케이션은 톰캣같은 웹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구조 개발자가 정한 위치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생성 그 위치를 server.xml에 등록해놓고 톰캣을 실행하면 톰캣이 server.xml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로 이동해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컨테이너 등록하기 위해서는 태그를 사용 구성 요소 기능 path 웹어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 이름. 웹 어플리케이션 이름과 다를 수 있음 브라우저에서 실제 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이름 docBase 컨텍스트에 대한 실제 웹 어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로 reloadable 실행 중 소스 코드가 수정될 경우 바로 갱신할지를 설정 fal..
2021.07.30 -
20210729_NVARCHAR 와 VARCHAR 차이
VARCHAR 한글, 한문 문자 - 2byte, 영문 문자,숫자 - 1byte NVARCHAR 모두 2byte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데이터형 공간을 더 많이 사용하지만 다국어 지원이 필요한 테이블에서 NVARCHAR를 씀 CHAR 과 VARCHAR의 비교 CHAR의 데이터 타입은 고정된 길이를 가진다 CHAR 형의 변수에 고정된 길이보다 작은 길이의 문자를 넣어도 남은 부분을 공백으로 채움 VHARCHAR는 가변형 데이더형. 선언한 변수 길이보다 작은 문자열이 들어올 경우 들어온 문자열 만큼의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메모리 상에서 이점을 가짐
2021.07.29 -
<20210719>
▶ tomcat server 여러개 올리기 servers 우클릭 > new > server ▶ DB연결 > jndi JNDI란 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의 약자로 DB Pool을 미리 Naming 시켜두는 방법(DB 연결방법 중 하나) dataSource를 프로젝트 내부에서 설정해서 쓰는것이 아니라 WAS에서 만들어져 있는 dataSource를 jndi를 이용해 접근하여 해당 Connection를 가져와 쓰는 것 사용 이유 소스가 노출이 되어도 디비 커넥션 정보는 서버에 있기때문에 보안에 있어서 더 강점 개발과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람이 다른 경우가 많기때문에 커넥션 정보가 소스에 있는것보다는 WAS에서 설정 되있는것을 선호 설정 방법 1) tomcat server.x..
2021.07.26 -
20210710 스터디 정리
- 패킷전달에 순서가 바뀔수있음 - 패킷 소실 - 데이터가 소실되도 모름 - 연결이 안되어있어도 일단 보냄 이걸 해결해주는게 ↓ -> 신뢰할 수 있음 - 연결지향( 연결이 되어있는지 먼저 확인을 하고 메세지를 보냄) - 데이터를 못받거나 누락 시 알 수 있음 -> 데이터 전송 성공 시 데이터를 받았다는 응답을 받음 - 패킷 순서를 보장 1) 클라이언트가 먼저 'SYN'을 서버에 보냄 2) 서버가 'SYN(접속 요청)'+'ACK(요청 수락)'으로 대답 3) 클라이언트가 'ACK' 으로 대답 4) 그럼 이제 데이터 전송(ACK대답과함께 데이터를 전송하기도 함) 같은 IP내에서 프로세스를 구분 http - 80, https - 443 등 - ip가 바뀌어도 도메인명을 등록함으로써 도메인으로 접근 - ip가 바..
2021.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