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정리(12)
-
20220201 스터디 정리
>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 @Component @Controller,@Service, @Repository의 어노테이션이 붙으면 스프링이 처음 뜰 때 스프링 컨테이너라는 스프링 통이 생기는데 여기에 해당 객체를 생성해서 등록, 관리를 하게 됨. >> 스프링 빈이 관리된다고 하는것 (↑해당 어노테이션 다 들어가보면 @Component가 들어있음, @Component가 있으면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됨 ) (컴포넌트 스캔의 대상은 메인메소드의 패키지의 하위, 동일한 것들. 따로 설정을 해주지않는 이상) 2.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 @Configuration, @Bean 장점 : 상황에 따라 구현 클래스를 변경해야하면 대체가 가능. 설정파일에서만 사용할 객체로 바꿔주면 됨! ..
2022.02.01 -
20220131 스터티 정리
tdd : 테스트를 먼저 만들고 구현 클래스를 만들어서 돌려보는거 테스트 케이스 작성 > @Test 개발한 기능을 실행해서 테스트 할 때 자바는 JUnit이라는 프레임워크로 테스트를 실행 >테스트는 순서 보장이 안됨, 순서랑 상관없이 메소드별로 따로 동작하게 설계해야함 >테스트는 독립적으로 실행되어야함. 테스트 순서에 의존관계가 있으면 안됨 >@AfterEach 한번에 여러 테스트를 실행하면 이전에 실행했던 메모리가 남을 수 있다. 이러면 다음 테스트가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AfterEach를 사용하면 각 테스트가 종료될 때 마다 실행.(이 기능을 통해 메모리를 지우면서 테스트) 테스트 코드 단축키 > ctrl+shilt+T Optional이란? > java8이상부터 지원, NPE(NullPointe..
2022.02.01 -
20220127-Spring 스터디
gradle :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땡겨서 오고 빌드하는 라이프사이클까지 관리해주는 툴 > gradle은 의존관계가 있는 라이브러리를 함께 다운로드함 스프링부트 라이브러리 spring-boot-starter-web spring-boot-starter-tomcat : 톰캣(웹서버) spring-webmvc : 스프링 웹MVC spring-boot-starter-tyhmelef : 타임리프 템플릿 엔진(View) spring-boot-starter(공통) : 스프링 부트 + 스프링 코어 + 로깅 spring-boot spring-core spring-boot-starter-logging logingback, slf4j 테스트 라이브러리 spring-boot-starter-test junit : 테스트 프레임..
2022.01.27 -
톰캣 설치
apache 설치 : 설치 되있는지 먼저 확인 : dnf list *httpd* 설치하고 > dnf -y install httpd 기동시켜주고 > systemctl start httpd aws에서 포트 열여준다(기본 웹 포트는 80포트니깐 80을 열어줌) 이렇게까지 하면 wow.exit.pe.kr로 들어가면 기본 웰컴페이지가 나옴 apache 설정 파일 : /etc/httpd/conf/httpd.conf 파일 여기서 내가 원하는 파일을 넣을라면 /var/www/html/ 에서 index.html 파일을 만들어서 띄움(왜냐면 기본 설정에 그렇게 설정되어있으니깐!) (Index Of/ 를 안보여주게 하려면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주석처리) tomcat 설치 : https://..
2021.12.18 -
서버
rpm :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패키지) 설치 관리 도구 rpm -qa : 패키지 설치 확인 rpm -ivh : 패키지 설치 java 버전 확인 java -version dnf/yum의 업그레이드 버전 : dnf/ 일관되게 쓰기 dnf로 의존성이 맞지 않을수있음 systemctl status httpd : 상태 확인 우리는 방화벽을 aws 에서!! os에서 하지 않음 들어오는 포트 설정을 aws에서!!!!!!!!!!!! httpd.conf 설정파일 > 리슨은 건들일필ㅇ요없음 ▶ 패키지 설치 확인 dnf list *httpd* ▶ 패키지 설치 확인 > 설치 > 실행(systemctl start 패키지) >> ▶ 리눅스에서 아파치 패키지 이름은 httpd~ ▶ systemctl ..
2021.12.03 -
리눅스공부
*** 파일은 x권한이 없음 > 그래서 권한만들어줄때는 x권이 없게 1을 추가해줘야함!!!! vi /etc/ssh/sshd_config : ssh 설정 Permitrootlogin = YES 파일을 수정하면 무조건 restart 해줘야!! 자바의 컴파일처럼! > systemctl restart sshd (꿀팁 > 검색 ctrl+r : 찾을 단어 누르면 나옴 그 전꺼 볼라면 또 ctrl+r) ssh 는 md5로 암호화함 (/etc/ssh/sshd_config)설정파일에서 -u 권한(0077) 을 써주면 (ssh 와는 별개임)stfp 의 umask 를 따름 ftp 에서는 ftp의 권한을 따름 ssh = sftp ftp보다 sftp의 전송속도가 좀 느림 : 암호화해야해서!
2021.11.23